개발공부/혼자놀기

네이버 클라우드 서버님 문 좀 열어주세요

맙소사 2022. 4. 15. 10:49

무려 2월 9일... 지금으로부터 65일 전(디데이계산기 돌려봄)

2월달에 나도 서버를 운영해보고 싶어서 하나 무료로 받아놨는데 이렇게 계속 서버 놔둘거면 뭐하러 내 무료이용기간을 낭비하나 싶은 현타가 와버림. 사실 이런거 만질 여유시간이 없다는게 가장 큰 이유이긴 한데 오늘은 아주 과감하게 클라우드에 뭐라도 해보기를 도전하겠음. (왜냐면 토이플젝 스터디 api를 운영해야 하는데 테스트 서버가 필요해서...ㅠ) aws도 무료서버를 받아두긴 했는데 일단 한글지원이 되는 네이버부터 써보도록 하자.

 

네이버 클라우드 콘솔 화면에 들어간다. 진짜 오랜만이다... 콘솔에서 서버를 선택하면 상단의 포트 포워딩 설정 버튼이 활성화되는데 클릭해서 포트 포워딩 설정을 해주면 된다.

 

포트 포워딩이 뭘까? 그건 바로 여기( https://guide.ncloud-docs.com/docs/ko/compute-compute-3-1-v2 )서 볼 수 있다. 비공인IP가 할당된 서버에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기 위한 설정이고, 접속 용도로만 사용이 가능하다고 한다. 근데 문자 그대로 번역해보면 port forwarding이니까 포트전달쯤으로 이해해도 괜찮지않을까? 전달해줘야 연결이 되니까 오케이 굿.

궁금해서 위키백과도 한번 읽어봤다. 포트매핑이라고 부르기도 한다네.

위키피디아 : ( https://ko.wikipedia.org/wiki/%ED%8F%AC%ED%8A%B8_%ED%8F%AC%EC%9B%8C%EB%94%A9

 

서버에 접속하려면 먼저 포트 포워딩 설정이나 공인 IP 설정을 하고, ACG규칙을 설정해야 한다. 설정이 완료되면 Linux 서버는 터미널 프로그램(윈도우는 원격 데스크톱 연결)을 이용해서 접속할 수 있다. 접속에 필요한 관리자 이름과 비밀번호는 콘솔에서 확인할 수 있다. 라고 친절하게 설명을 적어주는 네이버 짱 한글 짱

 

우리가 putty 화면에 적어줄 외부포트를 적어서 등록해주면 된다. 외부포트번호는 기본이 3389라고 하길래 뭐가 왜 기본이 3389인지 몰라서 검색해봤다. 데스크톱 PC는 윈도우에서 기본적으로 원격 포트를 3389로 쓴다고 한다. 근데 이게 일반적으로 알려진 사실이라 보안 강화를 위해서 포트를 다르게 쓰기도 한다고 함. 뭔가 이런 정보 찾았을때 진짜 맞는 말인지 검증해줄 교수님 있었으면 좋겠따.,, 대학교 다시 가고싶어 잉잉

 

어쨌든, 포트번호를 보안어쩌구로 바꾸는건 나중에 일단 서버 문 열기 성공하고 난 다음 시도해도 되니까 기본으로 진행했다.

그러면 하단에 저렇게 쨘 하고 새로 한 줄이 추가된다.

 

그리고 서버에 접속하려면 비밀번호도 있어야 한다. 그래서 비밀번호 설정을 하려고 눌렀는데

인증키가... 뭐더라 ...?

서버를 처음 발급받은건 2월 9일... 지금은 4월 15일... 인증키가 뭔지 pem이 뭔지 기억에서 아주 깨끗하게 지워지는 바람에 살짝 식겁했는데 65일간의 나는 다운로드 폴더를 정리할 기력조차 없이 바빴기 때문에 다운로드 폴더 속 2월 9일자 목록에 예쁘게 자리잡고있는 pem 파일을 찾을 수 있었다 ^_ ^ ... 다행이다... pem 파일을 업로드 하고 나면 관리자 암호를 제공해준다. (pem이 뭔가요? https://better-9.tistory.com/152?category=895265 여기에 내가 예쁘게 정리해뒀다.)

 

J8...!!!! 제발 성공하길!!!

그러면 우리는 이제 포트포워딩도 끝내고, 비밀번호도 받았기 때문에 puTTY를 통해 서버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드디어... 드디어 ...!!!

진심 갑자기... 갑자기 영어로 문장이 딲! 나와서 너무 당황했다.

난 이제야 고작 말해보카 가넷리그 턱걸이중인 영찔인데...

그럼...

어쩔 수 없이...

한땀한땀... 적는 수 밖에...

 

아하! 고마워요 구글!!!

나는 이 컴퓨터에서 계속 진행할 생각이기 때문에 Accept를 누르기 전에 궁금해서 help를 눌러봄.

오... 알겠습니다.

궁금해서 More info도 눌러봄

내 키값에 대한 상세한 내역(이라고 해봤자 무작위문자열같이 생긴 읽을 수 없는 pem으로 추정)을 보여준다.

오케이 바이.

 

이제 진짜 진행하려고 accept를 눌렀는데... 화면이 안 뜬다... 내가 너무 오래 시간을 끌어서 그런걸까...?

어째서......
한 10분정도 기다려봤는데 여전히 안 떴다... 혹시 서버가 망가진건가...? 아니면 나는 못 들어가는걸까...? 내거라고 했으면서...?

 

그냥 껐다가 다시 켰더니 됨.

근데 로그인 할 때 또 조금 버벅여서 또 비번 틀린건가 조마조마했는데 그냥 첫 로딩이 느린 친구 같다.

 

성공!!!!!!

우분투 서버에 대한 설명이 줄줄이 써있고, 성공적으로 진입했따. 근데 아까 그 J8~ 로 시작하는 관리자 비번... 너무 복잡하니까 간단하게 바꿔주자. 설마 이 쪾구만 서버를 누가 해킹하겠어 ^^~

리눅스에서 비밀번호 변경하는 방법은 passwd [사용자이름] 이다.

passwd root를 입력하면 관리자(root)계정 비밀번호를 변경할 수 있다.

이제 다음은 서버 안에 이것저것 설치를 해보도록 합쉬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