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발공부/혼자놀기

네이버 클라우드 개설!

by 맙소사 2022. 2. 9.

네이버 클라우드는 네이버 아이디와 별도로 회원가입이 가능해서 자주 쓰는 구직용 이메일로 가입했다(ㅋㅋ)

결제정보를 등록하고 나면 서버를 생성할 수 있는데 나는 아직 서버에 대해 잘 모르니까 체험용 서버를 만들기로 결정하고 생성 단계에 들어갔는데 들어가자마자 서버 이미지라는 개념이 등장해버려서 한참을 헤맸다.

 

서버 이미지란?

컨테이너 실행에 필요한 파일과 설정값 등을 포함하고 있는 것! 상태값을 가지고 변하지 않는다. 컨테이너는 이미지를 실행한 상태라고 볼 수 있고 추가되거나 변하는 값은 컨테이너에 저장됩니다. 같은 이미지에서 여라개의 컨테이너를 생성할 수 있고 컨테이너의 상태가 바뀌거나 컨테이너가 삭제되더라도 이미지는 변하지 않고 그대로 남아있습니다.

ubuntu 이미지는 ubuntu를 실행하기 위한 모든 파일을 가지고 있고 MySQL이미지는 debian을 기반으로 MySQL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파일과 실행 명령어, 포트 정보등을 가지고 있습니다. (후략)

출처 : 초보자를 위한 도커 안내서 ( https://subicura.com/2017/01/19/docker-guide-for-beginners-1.html )

 

내가 아는건 ubuntu랑 MySQL인데 리눅스 환경이 궁금하기도 했고 ubuntu에다가 mysql을 설치하면 얼마든지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os ubuntu로 결정했다. 컴퓨터에 있는 친구가 18.04버전이어서 클라우드도 똑같은 버전으로 결정하고 진행!

 

무료 체험이 가능한 Micro 서버 타입을 고르면 뜨는 알람창

 

Zone이 아마 aws에 있는 리전의 하위 개념인 것 같은데 그냥 기본설정 되어있는 KR-2로 놔뒀다.

Micro가 g1세대에 있기 때문에 세대는 g1.

스토리지 종류는 두 가지가 있는데 Micro의 경우 SSD를 지원하지 않는다. 무료니까 HDD라도 감사하게 쓰겠습니다요!

서버타입과 요금제도 동일하게 기본값으로 진행하고 서버 개수의 경우 Micro가 무료이기 때문에 1개만 가능하다.

서버이름을 정하고 반납보호는 해제 해뒀다. 반납일이 지나면 과금되니까... 돈 없는 나는 제 때 반납하는걸 잊지 않길!

 

다음으로 넘어가면 인증키 및 네트워크 접근 설정이 있는데 인증키의 경우 pem 형식 파일을 다운받게 된다. aws 사용할 때도 저걸 다운받을 일이 있었는데 그 때는 기록을 하지 않고 넘어가서 기억이 가물가물하네... 이것도 궁금해서 찾아봤다.

 

PEM

PEM (Privacy Enhanced Mail)은 Base64 로 인코딩한 텍스트 형식의 파일입니다.
Binary 형식의 파일을 전송할 때 손상될 수 있으므로 TEXT 로 변환하며 소스 파일은 모든 바이너리가 가능하지만 주로 인증서나 개인키가 됩니다.

AWS 에서 EC2 Instance 를 만들때 접속용으로 생성하는 개인키도 PEM 형식입니다.
어떤 바이너리 파일을 PEM 으로 변환했는지 구분하기 위해 파일의 맨 앞에 dash(-) 를 5 개 넣고 BEGIN 파일 유형을 넣고 다시 dash(-) 를 5개 뒤에 END 파일유형 구문을 사용합니다.

출처 : https://www.lesstif.com/software-architect/pem-cer-der-crt-csr-113345004.html

 

네트워크 설정은 하나밖에 없길래 그대로 진행했다. 하단의 설명에 따르면 별도의 방화벽 구축 없이 서버 그룹에 대한 네트워크 접근 제어 관리를 돕는 상품이라고 쓰여있는데 ssl이랑은 다른 개념인 것 같기도 하고...

참고 사이트 : https://docs.3rdeyesys.com/3.security/ncp_security_acg_guide/

 

전부 다 진행하면 요약 페이지가 뜨고 서버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서버 신청을 해두고 밥 먹으러 다녀왔는데 서버 생성이 완료되어 있다.

이제 올 해의 목표인 배포를 시작해 볼 시간이다.!!!!!!!! 설렌다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