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과 유니티로 배우는 게임 개발 올인원 패키지 Online.31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최종 후기]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가 끝났다! 최종 후기까지 작성해야 챌린지 참여가 완전히 끝나고 환급 과정이 진행되기 때문에 최종 후기글을 작성하려고 오랜만에 블로그를 켰다. 수강한 강의는 'C#과 유니티로 배우는 게임 개발 올인원 패키지Online.'이고, 챌린지 참여 하면서 배운 것들과 과정, 챌린지를 통해 수강 전과 후의 비교, 챌린지를 통해 만들어낸 결과물, 챌린지 참여 소감 등등 자유로운 이야기를 써보라고 하는데... 자소서도 쓰기 힘들어하는 내가 이걸 사천자까지 쓸 수 있을까 ...? 챌린지 참여 계기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가장 큰 이유는 환급! 게임 개발에 관심이 있지만 당장 취업이나 업무에 필요한 스택은 게임 쪽이 아니다보니 알고리즘이나 코딩테스트 어쩌구 강의 위주로 사놨고... 밀려있는 강의와 카드.. 2021. 10. 13.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30일차] 문제 풀이로 실전 응용력을 다지는 필수 자료구조 Ch 02. 알고리즘 - 05. 정렬 알고리즘 - 삽입정렬(Insertion Sort) 삽입정렬은 앞의 숫자가 선택된 숫자보다 큰지 비교하며 선택값 위치에 삽입하는 정렬 방법. 앞의 데이터들은 이미 정렬이 된 것으로 간주하고 정렬하며 앞의 값과 비교를 하기 때문에 전체 배열 중 0번 인덱스가 아닌 1번 인덱스부터 앞의 값과 비교함! 정렬된 부분과 정렬되지 않은 부분으로 나눠서 정렬이 되지 않은 부분에 있는 데이터를 정렬된 데이터와 비교해서 교환하는 방식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비교할 데이터가 많은 경우에는 효율이 좋지 않음. 이미 내림차순으로 정렬이 되어있는 경우 오름차순으로 변경할 때 매번 끝까지 비교해야 하기 때문에 속도가 엄청나게 느려짐. Ch 02. 알고리즘 - 06. 정렬 알고리즘 - 힙정렬(He.. 2021. 10. 5.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29일차] 문제 풀이로 실전 응용력을 다지는 필수 자료구조 Ch 02. 알고리즘 - 03. 정렬 알고리즘 - 버블정렬(Bubble Sort) 버블정렬은 서로 이웃한 데이터들을 비교하여 가장 큰 데이터를 가장 뒤로 보내는 정렬 방식. 구현은 단순하지만 배열의 모든 요소와 교환하며 계속 비교를 하기 때문에 효율이 좋지는 못함. 심지어 이미 정렬이 된 데이터도 교환되는 일이 발생하기도 함!!! 구현방법 1. 첫번째 데이터와 두번째 데이터를 비교해 첫번째 값이 더 크면 두번째 데이터와 교환함. 2. 두번째 데이터와 세번째 데이터를 비교해서 큰 수를 뒤로 보냄. 3. 처음부터 n-1번째 데이터를 비교해서 정렬하는 알고리즘. Ch 02. 알고리즘 - 04. 정렬 알고리즘 - 퀵정렬(Quick Sort) 배열의 요소를 정렬하기 위한 분할정복 알고리즘의 일종임! 속도가 빠르지.. 2021. 10. 4.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28일차] 문제 풀이로 실전 응용력을 다지는 필수 자료구조 Ch 02. 알고리즘 - 02. 정렬 알고리즘 - 선택정렬(Selection Sort) 선택정렬은 정렬되지 않은 데이터들 중 가장 작은 데이터를 가장 앞의 데이터와 교환하는 방식으로 구현하면 된다. 방법 : 1. 리스트에서 최소값을 찾는다. 2. 최소값을 맨 앞의 값과 교체한다. (Swap) 3. 교체한 앞의 데이터는 정렬된것으로 간주하고 다음 인덱스부터 앞의 두 과정을 반복함. 구현은 다른 정렬에 비해 비교적 단순하지만 시간복잡도를 따지면 꽤나 비효율적인 방법임. 반복문 for루프가 두 개는 꼭 들어가야 하기 때문인듯! 그리고 Big-O 표기법에 대한 설명을 해주신다. 1. O(1) : 효율이 제일 좋음 2. O(log n) 3. O(n) 4. O(n log n) 5. O(n²) 근데 선택정렬의 경우는.. 2021. 10. 3.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27일차] 문제 풀이로 실전 응용력을 다지는 필수 자료구조 Ch 01. 선형자료구조 - 08. 해쉬테이블과 딕셔너리(Hashtable & Dictionary) 이 친구들은 빠른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해시테이블은 자바의 해시맵과 비슷한 느낌이라고 생각하면 편한듯. 워낙 많이 써서 구조는 익숙하다. 딕셔너리도 다 비슷한 구조라서 쉽게 파악할 수 있어서 좋다! 해쉬테이블은 Key 값과 Value값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분류하는 자료구조임. 미리 저장공간을 확보하기 때문에 메모리 효율이 좋지 않지만 검색 기능을 위주로 사용한다면 굉장히 빠르게 할 수 있다. Add, Remove 등을 사용해서 값을 추가하고 삭제할 수 있다. 해시테이블의 기본 개념은 해시 함수라는 곳에 키값을 넣어서 해시코드를 반환받으면 버킷이라는 저장공간에 매핑해줌. Object 타입을 받아가는 형식이.. 2021. 10. 2.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26일차] 문제 풀이로 실전 응용력을 다지는 필수 자료구조 Ch 01. 선형자료구조 - 07. 큐(Queue) FIFO ( First-In-First-Out ) 선입선출, 처음에 들어온 데이터가 가장 먼저 나감. 큐의 구조는 이런식으로 되어있다고 생각하면 됨. Enqueue(데이터 입력) -> Rear(입구) ~ ~ ~ ~ ~ ~ ~ Front(출구) -> Dequeue(데이터 추출) Enqueue를 사용해서 한번에 하나씩 값을 넣을 수 있다. Dequeue를 사용해서 한번에 하나씩 값을 빼낼 수 있다. 배열을 통해서 Queue를 구현할 경우 Index값을 Front로 사용하면 된다. 코드의 구성은 아래와 같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2021. 10.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