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강/패스트캠퍼스_환급챌린지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05일차] 코딩테스트로 배워보는 C#

by 맙소사 2021. 9. 10.

Ch 03. 데이터란 무엇일까 - 01. 기본 데이터2-1, 2-2

object

- 객체 데이터 형태, 어떤 형태든 모두 처리가 가능하고 클래스에 상속이 적용됨

- 가장 최상위에 있는 데이터

 

근데 보니까 C#은 모든 데이터타입이 전부 다 소문자로 시작하나봐, 자바는 String 인데 얘는 string 이거네.

 

enum

- 열거형 데이터 형태

- enum 식별자(이름)

1
2
3
4
5
6
7
enum CHAR_STATE
{
   IDLE,    //0
   WALK,    //1
   RUN,     //2
   DIE,     //3
}
cs

위에서 차례대로 숫자가 1씩 커지는 형식임, 예를들어 이하 코드처럼 숫자를 지정했을 경우는 지정된 값에서 1이 상승함

1
2
3
4
5
6
7
enum CLICK_STATE
{
   NONE,    //0
   CLICK = 100,
   DOUBLE_CLICK = 200,
   UP,        //201
}
cs

1
CHAR_STATE charState = CHAR_STATE.IDLE;
cs

- charState에 CHAR_STATE의 IDLE을 대입함.

 

1
Console.WriteLine("캐릭터 상태 : {0} {1}", charState, (int)charState);
cs

- 이렇게 작성하면 열거형 멤버의 이름, 그리고 int로 형변환 할 경우 연결된 상수 값이 출력됨.


enum 쓰는데 이거 맨 뒤에도 콤마를 써놓는거 왜지? 궁금하네. 해서 공식 문서 ( https://docs.microsoft.com/ko-kr/dotnet/csharp/language-reference/builtin-types/enum )를 참고했는데 공식 문서는 맨 뒤에 쉼표를 쓰지 않았음. 강의 하시는 선생님이 쓰신건데 아마 다음 값을 작성할 때 오류가 나지 않도록 편의를 위해서 쓰신듯. 장고 할 때도 종종 저런 부분 많았는데 의외로 오류가 안 나나보다. 신기하네.


nullable 형식

기존 데이터 + null 값 저장이 가능함

int형일 경우 int형도 대입이 되고 null도 대입이 됨 둘 다 쓸 수 있는거임!

데이터자료형? 식별자 형식으로 작성하면 됨

1
int? num = 100;
cs

 

HasValue 이거는 값이 있는지 없는지 체크하는거임. 없으면 false

참고 : https://docs.microsoft.com/ko-kr/dotnet/api/system.nullable-1.hasvalue?view=net-5.0

 

 

var

암시적 형식 지역 변수, 지역변수로만 사용 가능하고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를 해주어야함.

for ~ each 에서 자주 사용

 

const

상수, 기존 변수 선언에 const 추가

1
const int NUM = 100;
cs

 

 

 


https://bit.ly/37BpXiC
공백제외 : 총 1,002자 (1,450byte)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패스트캠퍼스 #패캠챌린지 #직장인인강 #직장인자기계발 #패스트캠퍼스후기 #C#과유니티로배우는게임개발올인원패키지Online. #C#과 유니티로 배우는 게임 개발 올인원 패키지 Online.

댓글